경험론자.
산고의 고통을 겪지 않은 사람은 어머니라는 이름을 가질 수없어요.
마음으로 낳는다고 하지만, 그래도 육체적 고통이 더 큰 법이지요. 10달동안 마음고생까지 더하면 아이에 대한 모정은 뜨거운 것입니다.
일해 보지 않고 이러쿵 저러쿵 이야기 하는 사람은 정말 꼴불견입니다.
적어도 일해보지 않은 분야라면 조금은 겸손해야 합니다.
그 현장에 있는 사람들은 정말 힘든 일정을 보내고 있는지 모르니까요.
무엇이든 해봐야 함을 느낍니다.
작은 것이든 어찌 됐든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를 해보는 것은 사람으로써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, 하나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큰 힘이 됩니다.
공부도 그렇습니다.
국.영.수가 아니어도 됩니다. 암기과목이라고 하더라도 좋은 성적을 받아 본다면,
다른 과목에도 욕심이 나는 법입니다.
자격증도 꼭 어려운 자격증이 아니어도 됩니다. 합격이란 기분을 느껴보는 것 만으로
이미 많은 것을 얻은 것입니다.
회사도 큰회사에 들어가야 하나요? 작은 회사 입사도 기쁨을 줍니다.
더 노력해서 큰 회사로 옮기면 되는 것입니다.
직장에서도 작은 일을 맡았다고 서운한가요?
작은 과제라도 처음부터 끝까지 잘 마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면 많은 것을 배운 것입니다. 1억짜리 과제든 10짜리 과제든 하는 일을 같습니다.
처음부터 큰 과제를 하면서 위험부담을 가질 필요가 없습니다. 공연히 어깨에 힘만 들어갑니다.
어떤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절대 어떤 형태를 가질 수 없습니다.
가래떡도 형틀을 통과해야 하고
붕어빵도 형틀을 통과해야 나옵니다.
답답한, 갑갑함
무료함. 두려움
모든 것은 이겨내야 합니다.
이 모든 것은 나에게 주어질 열매의 영양소들입니다.
오늘 고통을 느끼는 것이 있나요?
압박감이 심한 것이 있나요?
어짜피 이렇게 된 것 즐기시기 바랍니다.
'직장인의 일상 > 직장인의 뒷담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뒷담화] 나사를 박는 방법 (8) | 2020.12.11 |
---|---|
[뒷담화] 세상의 지식이 중요한가요? (5) | 2020.12.09 |
모두,누군가,아무나,아무도 (4) | 2020.12.07 |
[뒷담화]마음이 무거운 것과 아픈것 (4) | 2020.12.06 |
[뒷담화] 온도차를 맞춰야 한다. (10) | 2020.12.04 |